제빵왕 김탁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빵왕 김탁구"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를 배경으로, 거성식품 회장의 아들 김탁구가 제빵업계에서 성공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다. 김탁구는 아버지 구일중과 어머니 김미순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이복동생 구마준과의 경쟁, 첫사랑 신유경과의 재회 등을 겪는다. 드라마는 김탁구의 성장과 함께 거성식품을 둘러싼 갈등과 음모를 다루며, 2010년 KBS 연기대상 등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해외에서도 방영되었으며, 베트남에서 리메이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커리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
유괴 트라우마를 가진 부잣집 아들이 케이크 가게 '앤티크'를 열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민규동 감독의 2008년 영화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는 주지훈, 김재욱, 유아인, 최지호 등이 출연했으며, 1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고 김재욱과 유아인이 신인 연기상을 수상했다. - 베이커리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당부성룡
2003년 홍콩 TVB에서 방영된 드라마 당부성룡은 지능이 낮은 아왕과 그의 아내 능채봉을 중심으로, 아왕의 숨겨진 비밀과 이를 파헤치려는 인물들의 갈등을 그린 드라마이다. - 조리사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식객
식객은 허영만 화백의 만화로, 음식에 담긴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사회적 약자와의 연대,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 조리사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요리왕 비룡
《요리왕 비룡》은 오가와 에츠시의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요리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청나라 말 천재 요리사 류마오싱(마오)이 최고의 요리사를 목표하며 암흑 요리계와의 싸움, 전설의 조리 기구 탐색 등 다양한 모험을 통해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 강은경 시나리오 작품 - 낭만닥터 김사부 3
낭만닥터 김사부 3는 2023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돌담병원을 배경으로 한석규, 안효섭, 이성경 등이 출연하여 의료 현장의 이야기를 그리며, 권역외상센터 설립과 새로운 인물들의 등장,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이전 시즌의 감동과 재미를 이어가며 한국방송대상 TV드라마부문 작품상을 수상하였다. - 강은경 시나리오 작품 - 구가의 서
구가의 서는 1570년대에서 1590년대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반인반수 최강치가 인간이 되기 위해 구가의 서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판타지 액션 멜로 드라마다.
제빵왕 김탁구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제빵왕 김탁구 |
영제 | King of Baking, Kim Takgu |
다른 제목 | The Baker King |
로마자 표기 | Jeppang-wang Gim Tak-gu |
한자 표기 | 製빵王 金卓求 |
일본어 가타카나 표기 | チェッパンワン キムタック |
방송 장르 | 로맨스 일상 멜로 드라마 |
극본 | 강은경 |
연출 | 이정섭 |
출연 | 윤시윤 주원 유진 이영아 |
음악 | 이필호 |
국가 | 대한민국 |
사용 언어 | 한국어 |
에피소드 수 | 30 |
책임 프로듀서 | 정해룡 (KBS) |
프로듀서 | 안재현 신상윤 |
제작사 | 삼화네트웍스 |
방송 채널 | KBS2 |
최초 방송일 | 2010년 6월 9일 |
최종 방송일 | 2010년 9월 16일 |
관련 작품 | 제빵왕 |
기획 | 곽기원 정성효 KBS 드라마본부 |
방송 시간 | 매주 수, 목 밤 9시 55분 |
방송 분량 | 1시간 20분 |
추가 편성 | KBS 드라마 KBS W→KBS 스토리 KBS WORLD |
조연출 | 김기성 신대식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
고화질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여는 곡 | 이필호 - 제빵왕 김탁구 |
공식 홈페이지 | 제빵왕 김탁구 홈페이지 |
시대 배경 | |
시대 설정 | 대한민국1960년대〜1990년대 |
일본어 정보 | |
일본어 표기 | 製パン王 キム・タック |
기타 |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Cheppang-wang Kimt'akku |
2. 줄거리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를 배경으로, 구일중과 김미순 사이에서 태어난 김탁구가 제빵업계에서 성공하는 과정을 그린다.
1964년, 구일중의 본처 서인숙은 아들을 낳지 못한다는 이유로 시어머니에게 경멸을 받았다. 1965년, 김탁구는 구일중과 그의 연인 김미순 사이에서 태어났다. 서인숙은 구일중과의 사이에서 구마준을 얻는다.
1976년, 12세가 된 김탁구는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거성가에 들어가지만, 어머니 김미순이 조진구에게 납치당하고, 김탁구는 어머니를 찾아 나선다.
1987년, 김탁구는 구일중의 스승인 팔봉의 제빵점에 들어가고, 이복동생 구마준과 대학생이 된 첫사랑 신유경과 재회한다. 조진구는 김탁구에게 김미순이 절벽에서 떨어져 사망했다고 말하지만, 사실 김미순은 살아있었다. 구일중은 김탁구가 제빵점에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장남인 그에게 가업을 잇게 하려 하지만, 서인숙과 그녀의 애인 한승재는 구마준이 회장 자리를 차지하도록 음모를 꾸민다.
1989년, 김탁구와 구마준은 경합을 시작한다. 구일중이 서인숙과 한승재의 음모를 알게 되자, 한승재는 김탁구를 살해하려 하지만 조진구가 그를 구한다. 구마준은 김탁구와의 갈등 끝에 누나 구자경에게 회사 경영을 맡기기로 합의한다.
김탁구는 양미선과 함께 제빵소에서 일하고, 구마준은 신유경과 세계 여행을 떠난다.
연도 | 사건 |
---|---|
1957년 | 구일중, 거성식품 창립 |
1961년 | 구자경 출생 |
1964년 | 구자림 출생 |
1965년 | 김탁구, 구마준, 신유경, 양미순 출생 |
1976년 | 12세 김탁구, 거성가 입성 |
1987년 | 거성식품 창립 30주년 김탁구-구마준, 팔봉 제빵점 입성 23세 김탁구-구마준-신유경 재회 |
1989년 | 25세 김탁구-구마준 경합 시작 |
2. 1. 1960년대: 김탁구와 구마준의 탄생
2. 2. 1970년대: 김탁구, 거성가에 입성하다
2. 3. 1980년대: 제빵왕을 향한 도전
3. 등장인물
'''주요 인물'''
- 윤시윤이 연기한 김탁구는 1965년생으로, 거성식품 구일중 회장과 가정부 미순 사이에서 태어난 거성가의 장남이다. 초등학교 5학년 때 빵을 훔치러 연천 고성식품 제빵 공장에 갔다가 아버지를 만나게 된다. 어머니의 의지로 서울 구가에 왔지만, 어머니를 찾기 위해 집을 나선 후, 12년 뒤 팔봉제빵소에 나타난다. 다소 싸움기질이 있지만 밝고 성실하며, 항상 웃는 얼굴로 정직하고 곧은 성격 덕분에 주변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아버지처럼 뛰어난 재능과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 주원이 연기한 구마준은 구가의 장남으로, 할머니에게 엄격한 영재 교육을 받았지만, 사실은 인숙과 한승재 회장 비서실장의 불륜으로 태어났다. 탁구에게 열등감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 유학에서 몰래 귀국하여 팔봉제빵소에 가명으로 취직한다. 탁구와는 반대로 냉정하고 차가운 성격이며, 빵 솜씨는 뛰어나지만 빵에 대한 애정이 없고, 탁구를 이기는 것에만 몰두한다.
- 유진이 연기한 신유경은 탁구의 어린 시절 친구로, 아버지의 학대로 인해 먼 시설로 보내졌지만 12년 만에 탁구와 다시 만난다. 장학금을 받고 대학에 다니며, 졸업 후 거성식품에 취직한다. 지적이고 차가운 성격이지만, 일편단심으로 헌신하는 면모를 보인다.
- 이영아가 연기한 양미순은 팔봉 선생의 손녀딸로, 팔봉제빵소의 유일한 여성 제빵사다. 파티시에를 꿈꾸지만, 아버지에게는 반쪽짜리 취급을 받는다. 할아버지의 피를 이어받아 뛰어난 미각과 빵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밝고 활발하며 츤데레 기질이 있지만, 속은 착하고 꼼꼼하다. 처음에는 탁구와 티격태격했지만, 제빵사로 성장하는 탁구에게 점차 마음이 끌린다.
- 전광렬이 연기한 구일중은 거성식품 회장이자 팔봉 선생의 과거 제자다. 1957년 26세에 거성식품을 설립했으며, 인숙과는 정략결혼으로, 애정은 없다. 빵 만들기에 몰두하는 "일 중독자"지만, 온화하고 관대한 성격으로 탁구의 재능을 알아보고 장남으로 호적에 올리려 한다.
- 전인화가 연기한 서인숙은 일중의 아내이자 마준, 자경, 자림의 어머니다. 아들을 낳지 못해 시어머니에게 괴롭힘을 당했지만, 한승재와의 불륜으로 낳은 마준을 구가의 장남으로 만든다. 거만하고 고집이 세며, 신분이 낮은 탁구와 유경을 싫어한다.
- 정성모가 연기한 한승재는 거성식품 회장 비서실장이자 인숙의 불륜 상대다. 미순에게 위해를 가하고 탁구를 곤경에 빠뜨리는 등 비열한 행동을 일삼는다.
'''거성가 사람들'''
거성가는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있는 것으로 등장하지만, 실제 장소는 충청북도 청원군(現 청주시)에 위치한 청남대이다.
- 윤시윤: 김탁구(金卓求[14]) / 구형준[15] 역(아역 오재무) - 제빵사. 1965년 5월 18일생(황소자리). 12세, 23세, 25세. 구일중의 장자이자 김미순의 아들.
- : 유경의 첫사랑이며, 거성가 장남. 제빵의 명인 팔봉 선생에게 가르침을 받고 수제자가 된다. '착한 사람이 이긴다'는 생모 김미순의 말을 신조로 삼고 산다. 촌스럽고 단순하며 솔직함과 정직함으로 사람을 감동 시키는 선한 매력이 있다. 한번이라도 그의 진심을 맛본 사람은 그의 편이 될 수 밖에 없으며, 마음으로 사람을 얻는 힘을 가지고 있다. 어린 시절 거성가의 장남으로 구일중 회장의 집에 입성하지만 서인숙과 한승재의 음모로 인해 쫓겨나고, 밑바닥에서부터 온갖 역경과 시련을 이겨내면서, 제빵에 타고난 천부적인 후각과 선한 마음을 바탕으로 명실상부한 제빵인으로 거듭난다.
- 주원: 구마준 / 한마준[본명] 역(아역 신동우) - 제빵사. 1965년 9월 10일생. 12세, 23세, 25세. 탁구의 경쟁자.
- : 가명 서태조. 서인숙-한승재의 아들. 12세 때, 자신의 비밀을 알게 되면서 불안한 나날을 보낸다. 의붓아버지 구일중에게 인정받기 위해 노력한다. 탁구를 미워하며 우월 의식이 대단하고 까칠하며 까탈스럽다. 자기 자신이 제일 잘났다고 생각하며 갖고 싶은 게 생기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쟁취해낸다. 구일중을 빼닮은 탁구에게 참을 수 없는 피해 의식을 품게 되면서 빵을 배우기로 결심, 탁구와 경쟁하지만 한계에 부딪힌다. 방송 후반 유경과 결혼했으나 유경에 대한 오해로 상처를 입어 외도를 한다. 이에 유경과의 관계도 틀어지지만 결국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유경에게 사죄하고 탁구와도 화해한다.
- 김유진: 신유경 역(아역 조정은) - 대학생(사회학과 84학번), 후에 거성식품 비서. 1965년 출생. 12세, 23세, 25세. 탁구의 첫사랑.
- : 탁구가 어머니를 찾기 위해 떠돌고, 유경이 보육원에 들어가면서 헤어졌다가 10 여 년 후 재회한다. 어린 시절 극도의 가난과 아버지의 폭력에 시달린 후, 대학생이 되어 부조리한 세상을 바꾸기 위해 학생 운동에 투신한다. 꿈 많고 열정 가득한 학생 운동가였으나 서인숙과 자림, 마준 등 상류 사회에 속한 사람들에게 상처 받고 좌절한다. 탁구와 마준, 두 사람의 사랑을 받는다. 탁구에게 '제빵왕 김탁구'가 새겨진 모자를 선물한다. 방송 말미에는 마준과 결혼하며 거성가 둘째 며느리가 된다. 신유경의 어머니는 술주정뱅이 남편과 결혼 이혼을 했고 어린 딸 유경이를 집에 놔둔채로 연락두절이 되버린다.
- 이영아: 양미순 역 - 제빵사. 1965년 출생. 23세, 25세.
- : 팔봉선생의 외손녀로 절대미각과 절대 손감각을 물려받아 다섯 살때부터 빵을 만들어온 빵신동이다. 지금은 시골 변두리 제빵집에서 일하지만 화려한 파리 블랑제를 꿈꾸며 양미순표 생크림 케익 개발에 열을 올리는 중이다. 제빵에 있어서만큼은 자부심 강하고 자신감 넘치는 그녀 앞에 김탁구가 나타나면서 빵을 만드는 설레임을 알게 된다. 그것이 탁구에 대한 사랑의 시작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데... 탁구에게 옥떨메(옥상에서 떨어진 메주)란 소리를 들으며 후일 거성가 맏 며느리가 된다.
- 전광렬: 구일중 역 - 거성식품 창업주 겸 총수. 1932년 출생. 탁구의 부친. 서인숙의 남편.
- : 가난으로 친한 친구를 잃고 1957년 양산 제과 회사인 거성식품을 창립한다. 신념이 강하고 부지런하다. 보수적이고 엄격하다. 열심히 일하고 최선을 다한만큼 결과를 얻는다고 생각한다. 규벌을 강화하기 위해 서인숙과 사랑없는 결혼을 했고 그 사이에서 자신의 대를 이을 아들을 얻지 못하던 중 김미순에게 마음을 주게 되면서 그녀에게서 탁구를 얻게 된다. 하지만 서인숙과 한승재의 견제와 모략에 의해 결국 김미순과 탁구를 영영 잃게 된다.
- 전인화: 서인숙 역 - 거성식품 안주인. 1935년 출생. 구일중의 이혼한 전아내. 탁구의 적대 세력.
- : 아들 마준에게 거성식품을 물려주기 위해 사력을 다한다. 겉으로는 기품 있고 세련된 부잣집 사모님. 허나 안으로는 계략과 모사에 능하며, 뒷거래에 능숙한 여인이다. 탁구와 팔봉제빵점에 끊임없는 시련을 안겨주면서 마준의 막강파워 배후세력으로 자리매김하는 인물. 정략결혼한 구일중을 진심으로 사랑하지만 끝끝내 채우지 못한 사랑으로 인해 외로워한다. 상류 사회에 속한 여자의 비참한 단면을 보여준다.
- 정성모: 한승재 역 - 거성식품 비서실장. 1932년 출생.
- : 구일중과 어렸을 때부터 한 집 살이를 한 집안의 가신. 젊은 시절 사랑했던 서인숙이 구일중과 결혼하면서 상처를 입지만 친구와 사랑하는 여인을 위해 모든 걸 감수해왔다. 그러나 서인숙과 마준을 지키고자 했던 그가 어느새 야심을 품게 되고, 두 사람의 인생에 점점 더 깊게 개입하면서 자신의 영향력을 키워가는데.. 마준의 친부이나 마준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한다. 서인숙과 마준을 위해서라면 뭐든지 할 수 있다. 서인숙을 위해 탁구와 미순 모자를 끈질기게 괴롭혔지만 친 아들 마준으로 인해 감옥에 간 후 개과천선 한다. 출소 후 홍여사와 탁구와 미순을 살해하려고 살인미수 혐의로 경찰한테 체포했고 징역 14년을 선고 받았다.
- 전미선: 김미순 역 - 거성가 보모, 간호사, 탁구의 모친.
- : 어렸을 적 갑작스러운 사고로 부모님을 잃고 부모님과 친분이 있던 홍여사의 선처로 거성가에 들어왔다. 구일중과 하룻밤의 인연을 맺으면서 탁구를 갖게 되지만 서인숙과 한승재의 음모로 거성가에서 쫓겨난다. 탁구를 위해서 라면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 하나 뿐인 아들에게 ‘이 세상은 착한 사람이 이기게 돼 있다’는 인생의 좌우명을 심어주는 따뜻하고 강한 어머니.
- 최자혜: 구자경 역(아역 하승리) - 거성식품 홍보실장.
- : 거성가의 장녀이자 구일중-서인숙의 맏딸. 탁구의 이복누나이며, 마준의 이부 누나. 1961년 6월출생. 16세, 27세, 29세. 책임감 강하고, 부지런하고 당당한 커리어우먼. 가족에 대한 애착이 남다르기에 탁구를 쉽게 인정하지 못한다.
- 최윤영: 구자림 역(아역 김소현) - 대학생(가정교육과 84학번).
- : 거성가의 차녀이자 구일중-서인숙의 작은 딸. 탁구의 이복누나이며, 마준의 이부 누나. 1964년 출생. 14세, 25세, 27세. 유경과 대학 동기이자 동아리 친구. 호기심에 학생 운동 동아리에 가입했다 고초를 겪는다. 사치스럽지만 솔직하고 티 없이 맑은 아가씨.
- 정혜선: 홍 여사 역 - 거성식품 안주인. 구일중의 모친.
- : 완고하고 꼬장꼬장하며 엄격하다. 가부장적 사고 방식과 남아선호사상으로 똘똘 뭉친 전형적 시어머니. 며느리가 대를 잇지 못해 노심초사하던 중, 거성가의 보모 김미순에게 마음을 둔 사실을 눈감아주며 그녀에게서라도 대를 얻고자 한다. 그래서 결국 탁구를 얻었지만, 그 일로 인해 그녀가 그토록 지키고 싶어했던 구씨 집안에 일대 풍파가 시작될 거라고는 전혀 생각지 못하는데...
- 전성애: 공주댁 역 - 거성가 가사 관리인, 김미순의 조력자
'''팔봉 제빵점 사람들'''
팔봉 제빵점은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에 있는 것으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에 세트장이 위치하고 있다.
- '''장항선''': 팔봉선생(오두용) 역 - 제빵사. 1918년 출생. 제빵계의 살아있는 전설이자 개성상인의 마지막 후예. 구일중의 옛 스승이자 탁구의 스승이다. 사려깊은 마음과 사람에 대한 통찰력이 남다르며, 죽음의 문턱까지 버려진 탁구를 거두어 빵을 통해 인생의 철학과 휴머니티를 가르치면서 성장시킨다. 어린 시절 목숨이 위험했던 탁을 구해준 적이 있으며, 누구보다 탁의 실력을 인정한다.
- '''박상면''': 양인목 역 - 제빵사. 팔봉 선생의 사위이자 팔봉 제빵점의 총대장. 반죽의 달인. 구일중의 옛 동료. 보수적이고 장유유서를 중시하는 7, 80년대 전형적인 가장이다. 장인정신을 가진 엄격하고 성실한 면도 있지만, 다소 과한 면도 있다. 특히 탁에게 엄격하지만 그의 실력은 인정한다.
- '''박성웅''': 조진구 역 - 제빵사. 일명 바람개비. 굽기의 달인. 전과 3범의 칼잡이. 과묵하고 신중하다. 탁구를 뒤에서 물심양면 도와줌으로서 탁구와 탁구모 미순에게 진 빚을 갚는다. 탁이 찾고 있던 풍차 문신의 남자.
- '''황미선''': 오영자 역 - 팔봉 제빵점 안주인. 팔봉 선생의 딸. 팔봉제빵점 총괄 매니저(계산의 달인). 배움도 짧고, 글도 짧지만 삶의 지혜가 깊은 7,80년대 전형적인 엄마. 매우 친절한 사람이며, 탁에게 친절하게 대한다.
- '''이한위''': 허갑수 역 - 제빵사. 구식케익 성형의 달인. 어느 날 불쑥 팔봉제빵집에 굴러들어온 탁구로 인해 후계자 자리에 위기의식을 느끼면서 사사건건 탁구의 행적에 파토를 내며 위기를 일으킨다.
- '''박용진''': 고재복 역 - 제빵사. 허갑수의 꼬봉노릇을 하고 있는 팔봉집 막내. 허갑수와 2인조로 탁구를 괴롭히다가 점점 탁구의 인간성에 반해 허갑수로부터 독립을 선언한다.
'''그 외 인물'''
- 김정학: 닥터 윤(윤승현) 역. 의사이자 거성가 주치의이다. 보건소에서 김미순과 인연을 맺은 후 조력자가 된다. 시력을 잃은 미순을 돕는다.
- 주은: 여은진 역. 거성식품 비서이자, 유경의 입사 선배이다. 신유경의 상사이기도 하다.
- 전해룡
- 김선화
- 고진명
- 김광인: 의사 역
- 최윤준: 우체국 직원 역
- 김동현
- 이한갈
- 송승용
- 이석구: 최이사 역
- 이건: 차준현 역. 거성식품 비서이자 탁구의 비서이다. 후에 팔봉베이커리에 들어온다.
- 안수민: 미스 장 역 - 김미순의 비서
- 권용운: 유경의 아버지 역. 술주정뱅이에 난봉꾼으로, 어린 딸 유경을 폭행해 격리됐다가 유경이 성인이 된 후 재회한다. 어린 유경을 학대한 죄로 복역했으며, 80년대에는 고성식품 청산 공장의 경비원으로 고용되어 있었다.
- 유채목: 유경의 어머니 역. 술주정뱅이 남편의 폭력으로 인해 집을 나간 뒤 연락두절
- 이종구: 제빵기술협회 고문 역
- 정성모 (Han Seung-jae 역)
- 박성웅 (조진구 역)
- 이한위 (허갑수 역)
- 전미선 (김미선 역)
- 정혜선 (홍 여사(할머니) 역)
- 권용운 (신배(유경의 아버지) 역)
- 박용진 (고재복 역)
- 김미순: 정미선 역. 탁의 어머니이다. 구가의 하녀 시절 탁을 임신했지만, 인숙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구가를 떠나 청산으로 간다. 가난하지만 탁과 사이좋게 살았으나, 탁이 일춘의 곁으로 가자, 풍차남에게 납치당한다.
- 구자경: 최자혜 역. 구가의 장녀이다. 고성식품에서 일하고 있지만, 여자라는 이유로 아버지의 후계자가 될 수 없다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다.
- 구자림: 최유영 역. 구가의 차녀이다. 대학에서 학생운동에 열중하며, 유경과 친구가 된다.
- 홍여사: 정혜선 역. 일춘의 어머니이다. 후계자를 낳지 못하는 인숙에게 심하게 대한다. 폭우가 쏟아지는 밤, 마준의 출생 비밀을 알게 되고, 인숙과 실랑이를 벌이다 발을 헛디뎌 넘어진다. 이후 병원에서 사망한다.
- 양인목: 박상면 역. 팔봉베이커리 점장이다. 팔봉의 사위이자 미순의 아버지이다. 장인정신을 가진 엄격하고 성실한 면도 있지만, 다소 과한 면도 있다. 특히 탁에게 엄격하지만 그의 실력은 인정한다.
- 오영자: 황미선 역. 팔봉의 딸이자 미순의 어머니이다. 매우 친절한 사람이며, 탁에게 친절하게 대한다.
- 오팔봉: 장항선 역. 팔봉베이커리를 설립한 전설적인 제빵사이자 제빵업계의 실력자이다. 어린 시절 목숨이 위험했던 탁을 구해준 적이 있다. 누구보다 탁의 실력을 인정한다.
- 조징: 박성웅 역. 팔봉베이커리의 제빵사, 전과자이다. 탁이 찾고 있던 풍차 문신의 남자이다. 미순이 절벽에서 추락해 행방불명되었다는 사실을 탁에게 알려준다. 이후에도 탁을 돕는다.
- 고재복: 박영진 역. 팔봉베이커리의 제빵사이다. 승재에게 매수되어 탁에게 괴롭힘을 가하지만, 징에게 간파당한다.
- 박춘배: 최일화 역. 팔봉의 옛 동료이다.
- 가정부: 정성애 역. 오랫동안 구가에 시중드는 하녀이다.
3. 1. 주요 인물
윤시윤이 연기한 김탁구는 1965년생으로, 거성식품 구일중 회장과 가정부 미순 사이에서 태어난 거성가의 장남이다. 초등학교 5학년 때 빵을 훔치러 연천 고성식품 제빵 공장에 갔다가 아버지를 만나게 된다. 어머니의 의지로 서울 구가에 왔지만, 어머니를 찾기 위해 집을 나선 후, 12년 뒤 팔봉제빵소에 나타난다. 다소 싸움기질이 있지만 밝고 성실하며, 항상 웃는 얼굴로 정직하고 곧은 성격 덕분에 주변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아버지처럼 뛰어난 재능과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주원이 연기한 구마준은 구가의 장남으로, 할머니에게 엄격한 영재 교육을 받았지만, 사실은 인숙과 한승재 회장 비서실장의 불륜으로 태어났다. 탁구에게 열등감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 유학에서 몰래 귀국하여 팔봉제빵소에 가명으로 취직한다. 탁구와는 반대로 냉정하고 차가운 성격이며, 빵 솜씨는 뛰어나지만 빵에 대한 애정이 없고, 탁구를 이기는 것에만 몰두한다.
유진이 연기한 신유경은 탁구의 어린 시절 친구로, 아버지의 학대로 인해 먼 시설로 보내졌지만 12년 만에 탁구와 다시 만난다. 장학금을 받고 대학에 다니며, 졸업 후 거성식품에 취직한다. 지적이고 차가운 성격이지만, 일편단심으로 헌신하는 면모를 보인다.
이영아가 연기한 양미순은 팔봉 선생의 손녀딸로, 팔봉제빵소의 유일한 여성 제빵사다. 파티시에를 꿈꾸지만, 아버지에게는 반쪽짜리 취급을 받는다. 할아버지의 피를 이어받아 뛰어난 미각과 빵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밝고 활발하며 츤데레 기질이 있지만, 속은 착하고 꼼꼼하다. 처음에는 탁구와 티격태격했지만, 제빵사로 성장하는 탁구에게 점차 마음이 끌린다.
정광렬이 연기한 구일중은 거성식품 회장이자 팔봉 선생의 과거 제자다. 1957년 26세에 거성식품을 설립했으며, 인숙과는 정략결혼으로, 애정은 없다. 빵 만들기에 몰두하는 "일 중독자"지만, 온화하고 관대한 성격으로 탁구의 재능을 알아보고 장남으로 호적에 올리려 한다.
정이나가 연기한 서인숙은 일중의 아내이자 마준, 자경, 자림의 어머니다. 아들을 낳지 못해 시어머니에게 괴롭힘을 당했지만, 한승재와의 불륜으로 낳은 마준을 구가의 장남으로 만든다. 거만하고 고집이 세며, 신분이 낮은 탁구와 유경을 싫어한다.
정성모가 연기한 한승재는 거성식품 회장 비서실장이자 인숙의 불륜 상대다. 미순에게 위해를 가하고 탁구를 곤경에 빠뜨리는 등 비열한 행동을 일삼는다.
3. 2. 거성가 사람들
거성가는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있는 것으로 등장하지만, 실제 장소는 충청북도 청원군(現 청주시)에 위치한 청남대이다.
- 윤시윤: 김탁구(金卓求[14]) / 구형준[15] 역(아역 오재무) - 제빵사. 1965년 5월 18일생(황소자리). 12세, 23세, 25세. 구일중의 장자이자 김미순의 아들.
- : 유경의 첫사랑이며, 거성가 장남. 제빵의 명인 팔봉 선생에게 가르침을 받고 수제자가 된다. '착한 사람이 이긴다'는 생모 김미순의 말을 신조로 삼고 산다. 촌스럽고 단순하며 솔직함과 정직함으로 사람을 감동 시키는 선한 매력이 있다. 한번이라도 그의 진심을 맛본 사람은 그의 편이 될 수 밖에 없으며, 마음으로 사람을 얻는 힘을 가지고 있다. 어린 시절 거성가의 장남으로 구일중 회장의 집에 입성하지만 서인숙과 한승재의 음모로 인해 쫓겨나고, 밑바닥에서부터 온갖 역경과 시련을 이겨내면서, 제빵에 타고난 천부적인 후각과 선한 마음을 바탕으로 명실상부한 제빵인으로 거듭난다.
- 주원: 구마준 / 한마준[본명] 역(아역 신동우) - 제빵사. 1965년 9월 10일생. 12세, 23세, 25세. 탁구의 경쟁자.
- : 가명 서태조. 서인숙-한승재의 아들. 12세 때, 자신의 비밀을 알게 되면서 불안한 나날을 보낸다. 의붓아버지 구일중에게 인정받기 위해 노력한다. 탁구를 미워하며 우월 의식이 대단하고 까칠하며 까탈스럽다. 자기 자신이 제일 잘났다고 생각하며 갖고 싶은 게 생기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쟁취해낸다. 구일중을 빼닮은 탁구에게 참을 수 없는 피해 의식을 품게 되면서 빵을 배우기로 결심, 탁구와 경쟁하지만 한계에 부딪힌다. 방송 후반 유경과 결혼했으나 유경에 대한 오해로 상처를 입어 외도를 한다. 이에 유경과의 관계도 틀어지지만 결국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유경에게 사죄하고 탁구와도 화해한다.
- 김유진: 신유경 역(아역 조정은) - 대학생(사회학과 84학번), 후에 거성식품 비서. 1965년 출생. 12세, 23세, 25세. 탁구의 첫사랑.
- : 탁구가 어머니를 찾기 위해 떠돌고, 유경이 보육원에 들어가면서 헤어졌다가 10 여 년 후 재회한다. 어린 시절 극도의 가난과 아버지의 폭력에 시달린 후, 대학생이 되어 부조리한 세상을 바꾸기 위해 학생 운동에 투신한다. 꿈 많고 열정 가득한 학생 운동가였으나 서인숙과 자림, 마준 등 상류 사회에 속한 사람들에게 상처 받고 좌절한다. 탁구와 마준, 두 사람의 사랑을 받는다. 탁구에게 '제빵왕 김탁구'가 새겨진 모자를 선물한다. 방송 말미에는 마준과 결혼하며 거성가 둘째 며느리가 된다. 신유경의 어머니는 술주정뱅이 남편과 결혼 이혼을 했고 어린 딸 유경이를 집에 놔둔채로 연락두절이 되버린다.
- 이영아: 양미순 역 - 제빵사. 1965년 출생. 23세, 25세.
- : 팔봉선생의 외손녀로 절대미각과 절대 손감각을 물려받아 다섯 살때부터 빵을 만들어온 빵신동이다. 지금은 시골 변두리 제빵집에서 일하지만 화려한 파리 블랑제를 꿈꾸며 양미순표 생크림 케익 개발에 열을 올리는 중이다. 제빵에 있어서만큼은 자부심 강하고 자신감 넘치는 그녀 앞에 김탁구가 나타나면서 빵을 만드는 설레임을 알게 된다. 그것이 탁구에 대한 사랑의 시작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데... 탁구에게 옥떨메(옥상에서 떨어진 메주)란 소리를 들으며 후일 거성가 맏 며느리가 된다.
- 전광렬: 구일중 역 - 거성식품 창업주 겸 총수. 1932년 출생. 탁구의 부친. 서인숙의 남편.
- : 가난으로 친한 친구를 잃고 1957년 양산 제과 회사인 거성식품을 창립한다. 신념이 강하고 부지런하다. 보수적이고 엄격하다. 열심히 일하고 최선을 다한만큼 결과를 얻는다고 생각한다. 규벌을 강화하기 위해 서인숙과 사랑없는 결혼을 했고 그 사이에서 자신의 대를 이을 아들을 얻지 못하던 중 김미순에게 마음을 주게 되면서 그녀에게서 탁구를 얻게 된다. 하지만 서인숙과 한승재의 견제와 모략에 의해 결국 김미순과 탁구를 영영 잃게 된다.
- 전인화: 서인숙 역 - 거성식품 안주인. 1935년 출생. 구일중의 이혼한 전아내. 탁구의 적대 세력.
- : 아들 마준에게 거성식품을 물려주기 위해 사력을 다한다. 겉으로는 기품 있고 세련된 부잣집 사모님. 허나 안으로는 계략과 모사에 능하며, 뒷거래에 능숙한 여인이다. 탁구와 팔봉제빵점에 끊임없는 시련을 안겨주면서 마준의 막강파워 배후세력으로 자리매김하는 인물. 정략결혼한 구일중을 진심으로 사랑하지만 끝끝내 채우지 못한 사랑으로 인해 외로워한다. 상류 사회에 속한 여자의 비참한 단면을 보여준다.
- 정성모: 한승재 역 - 거성식품 비서실장. 1932년 출생.
- : 구일중과 어렸을 때부터 한 집 살이를 한 집안의 가신. 젊은 시절 사랑했던 서인숙이 구일중과 결혼하면서 상처를 입지만 친구와 사랑하는 여인을 위해 모든 걸 감수해왔다. 그러나 서인숙과 마준을 지키고자 했던 그가 어느새 야심을 품게 되고, 두 사람의 인생에 점점 더 깊게 개입하면서 자신의 영향력을 키워가는데.. 마준의 친부이나 마준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한다. 서인숙과 마준을 위해서라면 뭐든지 할 수 있다. 서인숙을 위해 탁구와 미순 모자를 끈질기게 괴롭혔지만 친 아들 마준으로 인해 감옥에 간 후 개과천선 한다. 출소 후 홍여사와 탁구와 미순을 살해하려고 살인미수 혐의로 경찰한테 체포했고 징역 14년을 선고 받았다.
- 전미선: 김미순 역 - 거성가 보모, 간호사, 탁구의 모친.
- : 어렸을 적 갑작스러운 사고로 부모님을 잃고 부모님과 친분이 있던 홍여사의 선처로 거성가에 들어왔다. 구일중과 하룻밤의 인연을 맺으면서 탁구를 갖게 되지만 서인숙과 한승재의 음모로 거성가에서 쫓겨난다. 탁구를 위해서 라면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 하나 뿐인 아들에게 ‘이 세상은 착한 사람이 이기게 돼 있다’는 인생의 좌우명을 심어주는 따뜻하고 강한 어머니.
- 최자혜: 구자경 역(아역 하승리) - 거성식품 홍보실장.
- : 거성가의 장녀이자 구일중-서인숙의 맏딸. 탁구의 이복누나이며, 마준의 이부 누나. 1961년 6월출생. 16세, 27세, 29세. 책임감 강하고, 부지런하고 당당한 커리어우먼. 가족에 대한 애착이 남다르기에 탁구를 쉽게 인정하지 못한다.
- 최윤영: 구자림 역(아역 김소현) - 대학생(가정교육과 84학번).
- : 거성가의 차녀이자 구일중-서인숙의 작은 딸. 탁구의 이복누나이며, 마준의 이부 누나. 1964년 출생. 14세, 25세, 27세. 유경과 대학 동기이자 동아리 친구. 호기심에 학생 운동 동아리에 가입했다 고초를 겪는다. 사치스럽지만 솔직하고 티 없이 맑은 아가씨.
- 정혜선: 홍 여사 역 - 거성식품 안주인. 구일중의 모친.
- : 완고하고 꼬장꼬장하며 엄격하다. 가부장적 사고 방식과 남아선호사상으로 똘똘 뭉친 전형적 시어머니. 며느리가 대를 잇지 못해 노심초사하던 중, 거성가의 보모 김미순에게 마음을 둔 사실을 눈감아주며 그녀에게서라도 대를 얻고자 한다. 그래서 결국 탁구를 얻었지만, 그 일로 인해 그녀가 그토록 지키고 싶어했던 구씨 집안에 일대 풍파가 시작될 거라고는 전혀 생각지 못하는데...
- 전성애: 공주댁 역 - 거성가 가사 관리인, 김미순의 조력자
3. 3. 팔봉 제빵점 사람들
팔봉 제빵점은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에 있는 것으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에 세트장이 위치하고 있다.
- '''장항선''': 팔봉선생(오두용) 역 - 제빵사. 1918년 출생. 제빵계의 살아있는 전설이자 개성상인의 마지막 후예. 구일중의 옛 스승이자 탁구의 스승이다. 사려깊은 마음과 사람에 대한 통찰력이 남다르며, 죽음의 문턱까지 버려진 탁구를 거두어 빵을 통해 인생의 철학과 휴머니티를 가르치면서 성장시킨다. 어린 시절 목숨이 위험했던 탁을 구해준 적이 있으며, 누구보다 탁의 실력을 인정한다.
- '''박상면''': 양인목 역 - 제빵사. 팔봉 선생의 사위이자 팔봉 제빵점의 총대장. 반죽의 달인. 구일중의 옛 동료. 보수적이고 장유유서를 중시하는 7, 80년대 전형적인 가장이다. 장인정신을 가진 엄격하고 성실한 면도 있지만, 다소 과한 면도 있다. 특히 탁에게 엄격하지만 그의 실력은 인정한다.
- '''박성웅''': 조진구 역 - 제빵사. 일명 바람개비. 굽기의 달인. 전과 3범의 칼잡이. 과묵하고 신중하다. 탁구를 뒤에서 물심양면 도와줌으로서 탁구와 탁구모 미순에게 진 빚을 갚는다. 탁이 찾고 있던 풍차 문신의 남자.
- '''황미선''': 오영자 역 - 팔봉 제빵점 안주인. 팔봉 선생의 딸. 팔봉제빵점 총괄 매니저(계산의 달인). 배움도 짧고, 글도 짧지만 삶의 지혜가 깊은 7,80년대 전형적인 엄마. 매우 친절한 사람이며, 탁에게 친절하게 대한다.
- '''이한위''': 허갑수 역 - 제빵사. 구식케익 성형의 달인. 어느 날 불쑥 팔봉제빵집에 굴러들어온 탁구로 인해 후계자 자리에 위기의식을 느끼면서 사사건건 탁구의 행적에 파토를 내며 위기를 일으킨다.
- '''박용진''': 고재복 역 - 제빵사. 허갑수의 꼬봉노릇을 하고 있는 팔봉집 막내. 허갑수와 2인조로 탁구를 괴롭히다가 점점 탁구의 인간성에 반해 허갑수로부터 독립을 선언한다.
3. 4. 그 외 인물
- 김정학: 닥터 윤(윤승현) 역. 의사이자 거성가 주치의이다. 보건소에서 김미순과 인연을 맺은 후 조력자가 된다. 시력을 잃은 미순을 돕는다.
- 주은: 여은진 역. 거성식품 비서이자, 유경의 입사 선배이다. 신유경의 상사이기도 하다.
- 전해룡
- 김선화
- 고진명
- 김광인: 의사 역
- 최윤준: 우체국 직원 역
- 김동현
- 이한갈
- 송승용
- 이석구: 최이사 역
- 이건: 차준현 역. 거성식품 비서이자 탁구의 비서이다. 후에 팔봉베이커리에 들어온다.
- 안수민: 미스 장 역 - 김미순의 비서
- 권용운: 유경의 아버지 역. 술주정뱅이에 난봉꾼으로, 어린 딸 유경을 폭행해 격리됐다가 유경이 성인이 된 후 재회한다. 어린 유경을 학대한 죄로 복역했으며, 80년대에는 고성식품 청산 공장의 경비원으로 고용되어 있었다.
- 유채목: 유경의 어머니 역. 술주정뱅이 남편의 폭력으로 인해 집을 나간 뒤 연락두절
- 이종구: 제빵기술협회 고문 역
- 정성모 (Han Seung-jae 역)
- 박성웅 (조진구 역)
- 이한위 (허갑수 역)
- 전미선 (김미선 역)
- 정혜선 (홍 여사(할머니) 역)
- 권용운 (신배(유경의 아버지) 역)
- 박용진 (고재복 역)
- 김미순: 정미선 역. 탁의 어머니이다. 구가의 하녀 시절 탁을 임신했지만, 인숙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구가를 떠나 청산으로 간다. 가난하지만 탁과 사이좋게 살았으나, 탁이 일춘의 곁으로 가자, 풍차남에게 납치당한다.
- 구자경: 최자혜 역. 구가의 장녀이다. 고성식품에서 일하고 있지만, 여자라는 이유로 아버지의 후계자가 될 수 없다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다.
- 구자림: 최유영 역. 구가의 차녀이다. 대학에서 학생운동에 열중하며, 유경과 친구가 된다.
- 홍여사: 정혜선 역. 일춘의 어머니이다. 후계자를 낳지 못하는 인숙에게 심하게 대한다. 폭우가 쏟아지는 밤, 마준의 출생 비밀을 알게 되고, 인숙과 실랑이를 벌이다 발을 헛디뎌 넘어진다. 이후 병원에서 사망한다.
- 양인목: 박상면 역. 팔봉베이커리 점장이다. 팔봉의 사위이자 미순의 아버지이다. 장인정신을 가진 엄격하고 성실한 면도 있지만, 다소 과한 면도 있다. 특히 탁에게 엄격하지만 그의 실력은 인정한다.
- 오영자: 황미선 역. 팔봉의 딸이자 미순의 어머니이다. 매우 친절한 사람이며, 탁에게 친절하게 대한다.
- 오팔봉: 장항선 역. 팔봉베이커리를 설립한 전설적인 제빵사이자 제빵업계의 실력자이다. 어린 시절 목숨이 위험했던 탁을 구해준 적이 있다. 누구보다 탁의 실력을 인정한다.
- 조징: 박성웅 역. 팔봉베이커리의 제빵사, 전과자이다. 탁이 찾고 있던 풍차 문신의 남자이다. 미순이 절벽에서 추락해 행방불명되었다는 사실을 탁에게 알려준다. 이후에도 탁을 돕는다.
- 고재복: 박영진 역. 팔봉베이커리의 제빵사이다. 승재에게 매수되어 탁에게 괴롭힘을 가하지만, 징에게 간파당한다.
- 박춘배: 최일화 역. 팔봉의 옛 동료이다.
- 가정부: 정성애 역. 오랫동안 구가에 시중드는 하녀이다.
4. 주요 설정
5. 한국 사회와 제빵왕 김탁구
5. 1. 1970-80년대 한국 사회와 제빵 산업
5. 2. 드라마 속 사회적 요소
6. 수상 경력
2010년 KBS 연기대상에서 여자 최우수연기상(전인화), 장편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윤시윤), 장편드라마부문 여자 우수연기상(유진), 청소년 연기상(오재무), 작가상(강은경)을 수상하였다.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에서는 신인 연기상(윤시윤)과 작가상(강은경)을 수상했다. 2011년 아시아모델상시상식 뉴 스타상(주원)을 수상 했다.
2010 대한민국 콘텐츠 어워드 대통령 표창, 국무총리상(강은경)을 수상하고, 2010년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강은경)을 수상하였다.
2010년 코리아드라마어워즈 미니시리즈 부문 연출상(김규태), 2011년 백상예술대상 연출상(이정섭)을 수상하였다.
2010 제3회 한국드라마어워즈에서는 연속극 부문 연출상(이정섭)과 연속극 부문 작가상(강은경)을, 신인상 남자(윤시윤)에게 돌아갔다. 2010 제18회 한국문화연예대상에서는 인기상 남자(윤시윤)에게 돌아갔다. 2010 KBS 연기대상 베스트커플상(윤시윤 & 이영아)에게 돌아갔다.
7. 해외 방영 및 리메이크
KBS의 국제방송 채널인 KBS 월드에서 방영된 적이 있다.[30] 일본에서는 후지TV를 비롯하여 간사이 TV(이하 KTV - 긴키 광역권), 도카이 TV(이하 THK - 주쿄 광역권), TV 니시닛폰(이하 TNC) 등 26개 FNN 지역 민방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국적으로 일제히 송출하였다.[30] 이외에도 DATV에서 2010년 12월 12일부터 매주 일요일 15시 30분부터 방송되었으며, 후지텔레비(フジテレビジョン)의 「韓流α」에서 2011년 7월 14일부터 8월 24일까지, 텔레비도쿄(テレビ東京)의 「韓流プレミア」에서도 2015년 6월 17일부터 7월 28일까지, BS후지(BSフジ)에서 2020년 7월 6일부터 8월 17일까지 및 2021년 4월 5일부터 5월 14일까지 각각 방송되었다.[30]
필리핀의 GMA NETWORK과 인도네시아에서 방영되었으며,[30] 중국에서는 안후이 위성 텔레비전을 통해 한국에서 종영한지 2년만에 다시 방송되었다.[30] 베트남에서는 2019년에 Mega GS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Limited 책임 회사에서 배포한 ''"Vua Bánh Mì"''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30]
참조
[1]
웹사이트
The Chosun Ilbo (English Edition): Daily News from Korea – Who Grabbed the Spotlight in 2010?
http://english.chosu[...]
2013-01-31
[2]
웹사이트
Writer Kang Eun-kyung: 'Yoon Si-yoon Is Miraculous Actor'
http://www.hancinema[...]
2013-06-07
[3]
뉴스
Top 10 Most Popular Searches of 2010
https://web.archive.[...]
2010-12-29
[4]
뉴스
The lesson of the happiest bread
http://joongangdaily[...]
2010-09-24
[5]
뉴스
What Korea is searched in 2010
https://www.koreatim[...]
2010-12-16
[6]
뉴스
Drama 'Kim Tak-goo' receives presidential honors
http://joongangdaily[...]
2010-12-23
[7]
웹사이트
AGB Daily Ratings: this links to current day-select the date from drop down menu
https://web.archive.[...]
2012-10-31
[8]
웹사이트
TNMS Daily Ratings: this links to current day-select the date from drop down menu
https://web.archive.[...]
2012-10-31
[9]
웹사이트
GMA Network brings to primetime TV the No. 1 Koreanovela of 2010, The Baker King.
http://philippinesho[...]
2017-01-03
[10]
웹사이트
PHILIPPINE SHOW: "Noah" ruled Kantar Media's National TV Ratings last January 3
http://philippinesho[...]
[11]
웹사이트
Kantar Media-TNS National Household Ratings (April 29-May 1): AJ Perez's Maalaala Mo Kaya episode ruled Saturday primetime
http://www.pep.ph/gu[...]
2017-01-03
[12]
웹사이트
Kantar Media-TNS National Household Ratings (March 8–10): Mara Clara reclaims primetime leadership
http://www.pep.ph/gu[...]
[13]
뉴스
'제빵왕 김탁구', 꿈의 시청률 50% 돌파하며 종영
http://sportsworldi.[...]
세계일보
2010-09-17
[14]
일반
[15]
일반
[16]
웹사이트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http://home.tnms.tv/[...]
[17]
웹인용
AGB 닐슨 미디어 리서치 홈페이지
http://www.agbnielse[...]
2010-05-10
[18]
뉴스
제빵왕 김탁구, 방송직전 한준서PD '하차' 왜?
http://entertain.nav[...]
TV리포트
2017-09-26
[19]
뉴스
'호텔킹' PD교체 논란..연출자 중도교체 사례는?
http://entertain.nav[...]
텐아시아
2017-09-26
[20]
뉴스
전쟁터 방불 안방극장, '살기 위한' 변칙편성 득과 실은?
https://web.archive.[...]
스포츠조선
2017-09-26
[21]
뉴스
신세경 윤시윤 어딨니?
https://web.archive.[...]
동아일보
2014-07-14
[22]
뉴스
뮤지컬배우 주원 ‘제빵왕김탁구’ 윤시윤 맞수 악역 캐스팅
http://www.newsen.co[...]
뉴스엔
2010-05-19
[23]
뉴스
피터팬의 영혼가진 ‘굿 액터’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3-11-05
[24]
일반
[25]
뉴스
15세 관람가 '제빵왕 김탁구' 4회만 '19금(禁)'된 사연은?
http://entertain.nav[...]
TV 리포트
2010-06-18
[26]
뉴스
SPC '김탁구빵 시리즈' 9종 출시(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1-12
[27]
뉴스
청주 명물 직지빵 굽는 '맥아당' 나병일 대표
http://www.inews365.[...]
충북일보
2017-09-26
[28]
뉴스
추억 버무린 단팥·크림·보리밥빵… ‘김탁구표 빵’ 불티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7-09-26
[29]
뉴스
탤런트 박용진 불구속 입건, 결국 `김탁구'에서 하차
http://news.newsway.[...]
뉴스웨이
2010-09-07
[30]
웹사이트
"Vua bánh mì" -제빵왕 김탁구 베트남 버전
https://thegioidie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